Study9 [Docker_CI/CD_스터디] 3. GitLab으로 AWS Cloud로의 지속적인 배포 목차 1. ECS로 Docker Application 배포 ECS Cluster 생성AWS Consol > ECS(Elastic Container Service) > 클러스터 > 클러스터 생성 컨테이너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Task Definition이 필요하다.메뉴 > 태스크 정의 > 새 태스크 정의 생성이미지 URI에 ECR URI을 넣는다. (ECR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다음은 서비스를 만들어서 이 태스크 정의서를 이용해 컨테이너를 만들도록 실행하면 된다.클러스터 안에 서비스를 하나 만들고, 이 서비스가 애플리케이션, 즉, 컨테이너를 실행한다.이 컨테이너는 Task Definition 사양을 이용하여 실행을 하게 된다. ECS Service 실행클러스터 > 서비스 > 생성네트워킹은 컨테이너가 실행.. 2025. 2. 4. [Docker_CI/CD_스터디] 2. GitLab 세팅 & Docker Image 빌드 및 푸시 목차 1. GitLab 프로젝트 생성GitLab은 설치형과 인터넷 서비스형이 있는데, 이 실습에서는 인터넷 서비스형을 사용한다. Get free trial 그룹 생성 후 프로젝트 생성 Plan > Issue boards칸반 보드티켓을 할당하고 티켓을 처리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전체 업무를 관리하는 기능.open → 작업 → Review or QA → closed Build > Pipelines현재 프로젝트가 CI/CD의 어느 단계에 있는지,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 Build > Pipeline editor파이프라인을 설계하는 기능.Build, Test, Deploy 등의 과정을 설계한다. (회사, 업무 마다 다름) 2. SSH Key 설정하기프로젝트를 Private로 생성했.. 2025. 1. 31. [Docker_CI/CD_스터디] 1.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및 Docker 설치 목차 1. AWS 가입실습용 구글 게정을 새로 생성하여 AWS 가입을 완료했다. 2. EC2 인스턴스 실행콘솔로 이동 서울 지역으로 선택 EC2 대시보드로 이동 인스턴스 시작 이름과 OS 선택 (Ubuntu) 인스턴스 유형: t2.micro새 키 페어 생성파일로 생성됨 네트워크 설정나머지 설정은 기본값으로 설정함. 인스턴스 시작 > 인스턴스 생성됨 인스턴스 연결 “SSH 클라이언트”에서 위에서 생성한 pem 키로 연결할 수 있음. “EC2 인스턴스 연결”에서 연결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연결할 수 있음. 간단한 작업 시 “EC2 인스턴스 연결”을 사용하고, 복잡한 작업 시 pem 키를 이용해 “SSH 터미널”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한다. 3. Linux 사용하기VirtualBox 설치기존에 Virtua.. 2025. 1. 26. [운영체제] 가상 메모리 (2) - 성능 최적화와 관리 기법 JSCODE 모의면접 스터디운영체제 6기 5주차목차 1. 요구 페이징요구 페이징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페이지만 메모리에 적재하고, 필요하지 않은 페이지는 디스크에 저장하여 메모리를 절약하는 기법이다.요구 페이징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려면 두 가지를 해결해야 한다. => 페이지 교체와 프레임 할당 작동 원리CPU가 페이지에 접근하면 페이지 테이블의 유효 비트를 확인한다.유효 비트가 1이면(해당 페이지가 메모리에 있음) CPU는 해당 프레임에 직접 접근한다.유효 비트가 0이면(해당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한다.운영체제의 페이지 폴트 처리 루틴이 동작한다.디스크에서 해당 페이지를 찾는다.메모리의 빈 프레임에 페이지를 적재한다. (빈 프레임이 없다면 페이지 교체가 필요)페이지.. 2024. 12. 2. [운영체제] 가상 메모리 (1) - 기본 개념과 구현 방식 JSCODE 모의면접 스터디운영체제 6기 5주차목차 1. 메모리 주소 지정 방식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때, 데이터가 위치한 메모리의 주소를 지정하는 것이다.주소 지정 방식에는 절대 주소 지정과 상대 주소 지정이 있다.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가상 주소)현대 운영체제는 메모리 관리를 위해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 개념을 사용한다.물리 주소: 메모리 하드웨어에서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된 위치를 가리키는 주소이다.논리 주소(가상 주소): CPU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가상의 메모리 주소로, 각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인 0번지부터 시작되는 주소이다.MMU(Memory Management Unit): 프로세스의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자동 변환하여 실제 메모리에 접근한다. 절대 주소 지정데이터가 위치한 메.. 2024. 11. 24. [운영체제] 프로세스 동기화 JSCODE 모의면접 스터디운영체제 6기 4주차목차 1. 프로세스의 병행성과 병렬성병행성(Concurrency, 동시성)여러 작업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프로그램(논리적 수준)이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싱글 코어에서는 시분할(Time-Sharing) 방식으로 CPU를 나누어 사용하여 동시 실행되는 것처럼 처리멀티 코어에서도 실행 가능하며, 이 경우 실제 병렬 처리도 가능작업 전환 시 Context Switching이 발생하여 현재 작업 상태를 저장하고 다음 작업을 불러옴 병렬성(Parallelism) 여러 작업이 실제로 동시에 처리되는 것으로, 실제 CPU의 물리적인 코어(물리적 수준)를 여러 개 사용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오직 멀티 코어에서만 동작이 가능하다. 병렬성 종.. 2024. 11. 19. [운영체제] CPU 스케줄링 JSCODE 모의면접 스터디운영체제 6기 3주차목차 1. CPU 스케줄링CPU 스케줄링은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들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CPU 자원을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운영체제는 준비큐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 어떤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할지 결정한다. 프로세스의 특성와 우선순위입출력 집중 프로세스 (I/O Bound Process): 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로 대기 상태에 더 많이 머무름.CPU 집중 프로세스(CPU Bound Process): 계산 위주의 CPU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로 실행 상태에 더 많이 머무름.두 프로세스가 동시에 CPU 자원을 요구한 경우입출력 집중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하여 입출력장치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그 다음 CPU 집중 프로세스에 CPU를 집중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더.. 2024. 11.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